메뉴 바로가기
본문내용 바로가기
  • 아프리카 지식정보
  • 아프리카윈도우
  • 아프리카 대륙 개관
아프리카 대륙 개관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나보츠와나, 나파소부르키나파소, 남수단, 니아모리타니아, 니적도기니, 니제르, 레소토, 레아에리트레아, 르데카보베, 르데, 르완다, 리비아, 리아나이지리아, 리아라이베리아, 리온시에라리온, 리카공화국남아프리카공화국, 말라위, 말리, 모로코, 베냉, 부룬디, 부아르코트디부아르, 사우기니비사우, 서사하라서사하라, 세네갈, 세이셸, 수단, 스모리셔스, 스카르마다가스카르, 아나미비아, 아소말리아, 아탄자니아, 알제리, 앙골라, 우간다, 웨짐바브웨, 이집트, 잠비아, 주공화국콩고민주공화국, 지부티, 차드, 카메룬, 케냐, 코모로, 크모잠비크, 토고, 튀니지, 티니에스와티니, 프린시페상투메프린시페, 피아에티오피아, 프리카공화국중앙아프리카공화국, 화국콩고공화국
  • 인구약 13억 6천만 명(‘21년 추정치, UN)
  • 면적30,067,234km² (지구 육지면적의 약 20%)
  • GDP약 8조 2천억 달러 (PPP) / 약 2조 9천억 달러 (명목)(‘22년 추정치, IMF)
  • 우리 상주 공관 수24개국 25개 공관
아프리카연합 마크
아프리카연합
(AU, African Union)
최신동향
  •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The 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rea) 출범
    • AfCFTA는 약 13.4억 명 이상의 아프리카 대륙 인구와 GDP 3조 4천억 불에 달하는 세계에서 가장 큰 자유무역지대
    • 2018년 3월 르완다 수도 키갈리에서 개최된 AU특별정상회의에서 AfCFTA를 위한 키갈리선언 채택
    • 이후 AU 55개 회원국 중 52개국이 서명하고, 비준 22개국으로 설정된 발효조건을 충족하여 2019년 5월 30일자로 AfCFTA 발효, 7월 7일에 공식 출범 선언
    • 2020년 7월 1일 이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
  • 2040년까지 백신 60% 자체 생산 목표 추진
    • 2021년 4월 AU가 개최한 화상 회의에서 아프리카 각국의 지도자, 보건 전문가, 바이오테크(Biotechnology) 및 제약회사 관계자들은 아프리카 내 백신 생산 확대 방안을 논의
      ※ 2021년 기준 아프리카는 전 세계 백신 수요 중 25%를 차지하고 있지만 자체 생산은 0.1%에 불과
    • 동 회의 참가자들은 2022년까지 아프리카 인구의 최소 60%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2040년까지 모든 백신의 60% 자체 생산을 목표로 정했으며, 특히 아프리카에서 증가 중인 에볼라, 라싸열(Lassa fever), 리프트밸리열(Rift Valley fever)의 경우 100% 자체적으로 생산 추진 예정
  • 아프리카의약품청(AMA, African Medicines Agency) 본부 설립국가로 르완다 선정
    • AMA는 아프리카질병통제예방센터(Africa CDC)에 이은 AU의 두 번째 보건전문기관이며 아프리카 대륙의 의약품 제조환경 조성 지원, 의약품 안정성 강화, 고품질 의약품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설립
    • 2022년 7월 제41차 AU집행위원회 정기회의를 통해 AU는 AMA 본부 설립국가로 르완다 선정
일반사항
일반사항
회원국 총 55개국*(서사하라 포함) *‘17년 1월 모로코가 재가입하면서 AU는 아프리카 전체 55개 회원국을 보유
설립일 2002년 7월 9일
본부 소재지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
AU
집행
위원장
Moussa Faki Mahamat (前 차드 외무장관)(‘21.2월 재선, 임기 5년)
비전 세계무대에서 역동성을 대변하고 아프리카인들이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통합되고 번영하는 평화로운 아프리카(An integrated, prosperous and peaceful Africa, driven by its own citizens and representing a dynamic force in global arena)
주요조직
주요조직
정상회의(Assembly) 각국 정상으로 구성, 최고 의결기관으로 연 2회(상반기 아디스아바바, 하반기 여타 회원국) 개최 * ’21년 의장국: 콩고민주공화국
각료회의(Executive Council) 정상회의 지원, 통상적으로 각 회원국 외교장관이 참여
범아프리카의회(PAP, Pan-African Parliament) 아프리카 발전과 경제 통합 과정에 아프리카인이 전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조성된 플랫폼, 남아공에 소재하며, 265명으로 구성
(50개 회원국에서 각국 당 5명 선출)
AU집행
위원회(AUC, AU Commission)
사무국(본부) 역할
상주
대표위원회(PRC, Permanent Representatives Committee)
주AU대표부 AU 회원국 대사들로 구성되어 각료회의 업무를 보조하는 실질적 의사결정기구로, 15개 소위(Sub-Committee) 운영
평화안보
이사회(PSC, Peace and Security Council)
지역별로 선출된 15개 이사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쟁 예방, 평화조성, 평화구축 및 아프리카상비군(ASF) 파견 등 논의
아프리카
신개발협력(NEPAD, New Partnership for Africa’s Development)
아젠다 2063 이행 담당
지역
경제공동체(REC, Regional Economic Communities)
지역구성원 간 지역경제통합 촉진 역할
범아프리카
대학(PAU, Pan African University)
아프리카 발전을 위한 고등교육 및 연구 진흥
아프리카
자유무역지대(PAU, Pan African University)
가나 아크라 소재(사무총장: Wamkele Mene)
기타 경제사회문화이사회(ECOSOCC), 재정기관, 특화기술위원회, 인권재판소, AU개발청(AUDA),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Africa CDC) 등
아젠다 2063
  • 개요
    • 향후 50년 동안의 아프리카대륙 성장과 개발을 위한 전략적 틀(framework)
    • AU 헌법, AU 비전 및 AU 50주년 기념선언문, 라고스행동계획, 아부자조약, 최소통합프로그램(Minimum Integration Programme), 아프리카 인프라개발프로그램(PIDA, Programme for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Africa), 종합적인 아프리카 농업개발프로그램(CAADP, Comprehensive Africa Agriculture Development Programme), NEPAD, 국가 및 지역 계획 및 프로그램을 토대로 구축
  • 50주년 기념 선언의 8가지 우선사항
    • ①아프리카 정체성과 르네상스 ②식민주의에 대한 계속적인 저항 및 자기결정권 ③통합 ④사회경제개발 ⑤평화와 안보 ⑥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한 통치 ⑦아프리카의 운명 결정 ⑧세계 속 아프리카의 위치
  • 목표
    • 통합되고, 번영하며, 평화로운 아프리카(integrated, prosperous and peaceful Africa)를 구축하고자 하는 장기적 비전 및 전략을 제시
    • 빈곤, 민주화, 여성, 아동, 교육, 전통과 다양성, 인권, 반부패, 농업을 포함한 사회경제 발전 등 다양한 분야의 목표를 설정하고, 주도적이며 지속가능한 비전을 제시
  • 우리가 바라는 아프리카(The Africa We Want)’를 주제로 7개의 염원(aspiration)을 제시
    우리가 바라는 아프리카(The Africa We Want)’를 주제로 7개의 염원(aspiration)을 제시
    번호 ‘우리가 바라는 아프리카’를 위한 우리의 염원
    1 포용적 성장과 지속가능 발전에 기반한 번영된 아프리카
    2 범아프리카주의 이상과 아프리카 르네상스 비전에 기반한 정치적 연합으로서의 통합된 대륙
    3 굿거버넌스, 민주주의, 인권존중, 정의구현 및 법치주의가 실현되는 아프리카
    4 평화롭고 안전한 아프리카
    5 강한 문화 정체성, 공동의 유산, 가치와 도덕성을 지닌 아프리카
    6 아프리카인, 특히 여성과 청년의 잠재력에 의존하고 아동을 돌보는 인간 중심의 발전을 이루는 아프리카
    7 강하고 통일되고 영향력 있는 국제사회 파트너로서의 아프리카
연혁
  • 1963
    • 5월 32개의 독립국이 아프리카단결기구(OAU,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창설 에티오피아의 수도 아디스아바바에 본부 설립
  • 1964
    • 11월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African Development Bank) 설립
  • 1984
    • 모로코, 서사하라의 OAU 가입에 저항하며 OAU 탈퇴
  • 1991
    • 아프리카경제공동체(AEC, African Economic Community) 창설을 골자로 하는 아부자협약 체결 AEC: 6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쳐 34년 안에 아프리카 공동시장을 건설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지역협력 강화, 관세 및 비관세 장벽 문제 해결, 각 지역공동체의 무역·농업·화폐·금융·산업·에너지·통신·운송 등을 통합, 지역공동체 수준에서 자유무역지대와 관세동맹 실현, 아프리카 공동시장 창설, 범아프리카 경제 및 통화연합과 범아프리카의회 창설
  • 1999
    • 9월 시르테 선언(Sirte Declaration)을 통해 범아프리카 정치경제통합기구인 AU 설립 추진안 채택
  • 2000
    • 7월 제36차 로메 정상회담에서 만장일치로 AU 헌법안(Constitutive Act) 채택
  • 2001
    • 5월 AU 헌장 발효
    • 7월 OAU 루사카 정상회담을 통해 AU 실행계획 로드맵 도출 및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새로운 파트너십(NEPAD, New Partnership for Africa’s Development) 이니셔티브 채택
  • 2006
    • 7월 감비아 반줄(Banjul)에서 개최된 AU 정상회의에서 ‘아프리카청년헌장’ 채택
  • 2007
    • AU소말리아평화유지군(AMISOM, African Union Mission in Somalia)을 파견하여 AU의 평화안보유지 관련 첫 임무 수행
  • 2011
    • 남수단이 54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 2013
    • OAU설립 100주년, AU설립 50주년을 맞아 ‘아젠다 2063’을 발표
  • 2015
    • 아젠다 2063을 바탕으로 ‘제1차 10개년이행계획 2014-2023(FTYIP, First Ten Year Implementation Plan)’을 채택
  • 2017
    • 1월 모로코 AU 재가입
  • 2019
    • 5월 30일 AfCFTA 협정 발효
    • 7월 7일 AfCFTA 발효 기념 특별정상회의 개최 가나의 사무국 유치 확정
  • 2021
    • 2021년 1월 1일 AfCFTA 시행
우리나라와의 관계
  • 對 AU 교류
    • 2005년 4월 AU 옵저버 자격 획득
    • 2006년 11월 제1차 한-아프리카포럼(KOAF, Korea-Africa Forum) 개최
    • 2009년 11월 제2차 한-아프리카포럼(KOAF)부터 AU와 공동주관, 2016년 12월 제4차 KOAF의 경우 AU 본부에서 개최
    • 2016년 12월 제4차 한-아프리카포럼의 결과문서로 양측은 ‘한-아프리카 협력 프레임워크(2017-2021)’를 채택
      * 구체적 협력사업과 이행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있는 동 문서는 △경제협력, △인적자원개발 및 과학기술, △청년개발 및 여성역량강화, △평화안보 등 향후 5년간 한국과 아프리카의 중점협력분야를 규정
      * 특히 동 문서는 AU 차원의 관심협력분야 및 개발수요를 반영하고 있으며, 양측은 이를 기반으로 한-아프리카 협력을 강화하고자 함
    • 2017년 4월 아디스아바바에서 한-AU 과학기술혁신 워크숍 개최
    • 2017년 9월 제1차 한-AU 정책협의회 서울에서 개최
    • 2018년 6월 MIKTA* 회원국 AU 공동면담 참석
      *멕시코(Mexico), 인도네시아(Indonesia), 대한민국(Korea), 터키(Turkey),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 5개국 협의체
    • 2018년 10월 제2차 한-AU 정책협의회 서울에서 개최
    • 2019년 7월 한-AU 간 청년교류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한국의 AU 평화기금 기여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
      * 한-AU 간 청년교류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체결에 따른 실행기관으로 한·아프리카재단 지정
    • 2019년 11월 아프리카산업화주간(AIW) 계기 한·아프리카재단과 공동으로 한-아프리카 청년스타트업/중소기업 제품 현지전시회, 한-아프리카 비즈니스포럼 AU본부에서 개최
    • 2020년 11월 아프리카산업화주간(AIW) 계기 한·아프리카재단과 공동으로 한-아프리카 비즈니스포럼 온라인 개최
    • 2020년 5월 외교부와 질병관리본부, 아프리카 질병통제예방센터(Africa CDC)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화상회의’ 개최
    • 2022년 3월 제5차 한-아프리카포럼(KOAF) 서울에서 개최
  • 對 AU 재정 기여
    • AU 협력기금: 2013-2021년 한-AU 협력기금 총 770만불
    • AU 평화기금: 2016-2021년 AU 정무평화안보활동 지원 총 1,640만 불(말리 병원 건설·지원 비용 포함)
    • 2004년 9월 AU 분쟁 해결(20만불)
    • 2007년 AMIS(20만불)
    • 2008년 8월 기자재(20만불)
    • 2008년 10월 소말리아 의약품(10만불)
    • 2009년 4월 AU소말리아평화유지군(AMISOM)(50만불)
    • 2016-2018년 AU 협력기금(연 100만불)
  • 최근 AU측 방한 및 인사교류
    • 2012년 10월 Erastus Mwencha AU집행위 부위원장
    • 2014년 7월 Jean Baptiste Natama AU집행위 비서실장
    • 2017년 9월 Michel Sidibé AU상주대사위원회 의장(제1차 한-AU 정책협의회)
    • 2017년 12월 Sarah Anyang Agbor 인적자원과학기술위원 및 범아프리카대학(PAU) 부총장
    • 2018년 4월 Arbert Muchanga 산업통상집행위원(국토지리정보원 협의)
    • 2018년 10월 David Claude Pierre AU상주대표위원회 의장대리, 주AU대표부 세이셸대사(제2차 한-AU 정책협의회)
    • 2018년 12월 Arbert Muchanga 산업통상집행위원(한-아프리카청년포럼, 제1회 서울아프리카대화 참석)
    • 2019년 7월 Bineta Diop 여성·평화·안보 특사(‘여성과 함께하는 평화’ 국제회의 참석)
    • 2019년 12월 Sarah Anyang Agbor 인적자원과학기술위원 및 범아프리카대학 부총장(한-아프리카청년포럼, 제2회 서울아프리카대화 참석)
    • 2020년 12월 Smaїl Chergui 평화안보집행위원(제3회 서울아프리카대화, 화상)
    • 2021년 6월 Abou-Zied 인프라에너지집행위원(제주포럼, 화상)
    • 2021년 12월 Arbert Muchanga 경제개발무역산업광업 집행위원(2021 한-아프리카 비즈니스포럼, 화상)
    • 2022년 3월 Monique Nsanzabaganwa 부집행위원장, Muchanga 경제개발무역산업광업 집행위원(제5차 KOAF)